오늘은 피부 재생 메커니즘: 콜라겐·엘라스틴·히알루론산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피부는 단순히 겉으로 보이는 미용 요소를 넘어, 우리 몸을 보호하는 1차 방어막입니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탄력을 잃고, 주름이 깊어지며, 여드름 흉터 같은 손상 자국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과정에는 피부 속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이라는 세 가지 핵심 성분이 밀접하게 관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성분들이 어떻게 피부 재생에 기여하는지, 그리고 연구 결과를 통해 그 효과가 어떻게 입증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콜라겐 – 피부 구조를 지탱하는 기둥
콜라겐은 진피층의 약 70%를 차지하는 단백질 섬유로, 피부를 ‘건물의 기둥’처럼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젊을 때는 콜라겐 합성이 활발해 피부가 탱탱하고 주름이 적습니다. 그러나 20대 중반 이후부터는 매년 약 1%씩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 노화와의 관계
콜라겐이 줄어들면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고, 잔주름이 나타나며, 처짐 현상이 발생합니다. 또한 피부 상처가 잘 아물지 않고 흉터가 남기 쉬워집니다. - 흉터 개선 효과
미국 피부과학회(Journal of Dermatology, 2019)에 따르면,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치료(PDRN, 마이크로니들, 레이저 등)를 받은 그룹에서 여드름 흉터 깊이가 평균 35% 감소한 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이는 콜라겐 재생이 흉터 회복의 핵심임을 보여줍니다. - 재생 치료와 연관성
리쥬란, 리프팅 레이저, 콜라겐 인덕션 테라피(CIT) 등 많은 피부과 시술이 결국 콜라겐 합성 촉진을 목표로 합니다. 즉, “콜라겐을 얼마나 회복시키느냐”가 피부 젊음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엘라스틴 – 피부 탄력을 되살리는 스프링
엘라스틴은 콜라겐과 함께 피부의 탄력 섬유망을 이루는 단백질입니다. 말 그대로 스프링 역할을 해서, 피부가 잡아당겨졌다가도 다시 제자리를 찾게 만듭니다.
- 노화와의 관계
엘라스틴은 25세 전후를 기점으로 급격히 감소합니다. 특히 자외선(UV)이 엘라스틴 섬유를 손상시키면 피부 탄력이 떨어지고, 처짐과 깊은 주름이 발생합니다. 이를 광노화(photoaging)라고 부릅니다. - 흉터 개선 효과
서울대 의대 연구팀(2020)은 흉터 조직에서 엘라스틴 함량이 정상 피부보다 현저히 낮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즉, 엘라스틴이 부족하면 피부가 유연하게 회복되지 못해 딱딱한 흉터가 남는다는 뜻입니다. - 재생 치료와 연관성
엘라스틴은 콜라겐과 달리 합성이 잘 일어나지 않는 단백질입니다. 따라서 피부과에서는 레이저·고주파(RF)·PCL 필러 등으로 간접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자극해 엘라스틴 회복까지 유도하는 전략을 씁니다. 최근에는 엘라스틴 생성을 직접 촉진하는 신소재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히알루론산 – 수분 저장고로서의 역할
히알루론산은 피부, 관절, 눈 속에 존재하는 고분자 다당류로, 수분을 자신의 무게의 약 1,000배까지 끌어당길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피부에서 히알루론산은 수분 저장고 역할을 하며 촉촉한 피부를 유지하게 해 줍니다.
- 노화와의 관계
나이가 들수록 히알루론산의 농도가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미세 주름이 늘어납니다. 단순히 물을 많이 마신다고 해결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이 진피층 내 히알루론산 감소 때문입니다. - 흉터 개선 효과
독일 피부과학회 연구(J Clin Aesthet Dermatol, 2017)에서는, 히알루론산 필러를 흉터 부위에 주입했을 때 단순한 볼륨 보충뿐 아니라 섬유아세포 자극으로 콜라겐 합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했습니다. 즉, 히알루론산은 단순히 ‘보습 성분’이 아니라, 재생 메커니즘 촉진제 역할까지 수행합니다. - 재생 치료와 연관성
쥬베룩과 같은 바이오필러, 물광주사 등 많은 시술은 히알루론산을 주요 성분으로 활용합니다. 이는 즉각적인 수분·볼륨 보충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피부 환경을 개선하는 목적을 동시에 갖습니다.
세 가지 성분의 조화가 만드는 피부 재생
정리하자면,
콜라겐은 피부 구조를 단단히 지탱하는 기둥,
엘라스틴은 그 기둥 사이에서 탄력을 유지하는 스프링,
히알루론산은 수분을 채우는 저장고입니다.
세 가지가 균형 있게 유지되어야 젊고 건강한 피부가 유지됩니다.
실제로 최신 피부과 치료들은 하나의 성분만 자극하기보다는, 콜라겐·엘라스틴·히알루론산을 동시에 강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PDRN 기반 리쥬란은 세포 활성화를, 쥬베룩은 히알루론산 + 콜라겐 자극을, 리투오는 콜라겐 재생을 특화하는 식입니다.
결국, 피부 재생의 핵심은 단순히 겉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피부 속 구조와 성분의 균형을 되살리는 것입니다. 앞으로도 이 세 가지 성분을 기반으로 한 신기술 연구와 시술이 계속 발전하면서, 더 자연스럽고 장기적인 피부 회복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