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

철도 사이버 보안 및 5G/6G 통신 오늘은 철도 사이버 보안 및 5G/6G 통신(디지털화되는 철도의 안전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철도 디지털화와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철도는 전통적으로 ‘기계 중심’ 교통수단으로 인식되었지만, 최근에는 IT와 통신 인프라의 결합으로 운영되는 거대한 디지털 시스템이 되었다.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TCMS(Train Control & Monitoring System), 신호 시스템(ETCS, CBTC), 승객 안내 시스템, 원격 유지보수 플랫폼까지 모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디지털화는 효율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지만, 동시에 사이버 보안 위협에 노출되는 새로운 문제를 가져왔다. 대표적인 위협은 다음과 같다.신호 시스템 해킹: 신호 데이터가 조작되면 열차 간격 제어가 무력화되어 충돌 위험을 .. 2025. 9. 1.
철도와 충돌 시험 이야기 오늘은 실제로 열차 충돌 시험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데이터를 설계에 어떻게 반영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열차 충돌 시험의 목적과 준비 과정철도차량은 수백 명의 승객을 수송하는 대형 교통수단이므로, 충돌 상황에서 승객 안전을 확보하는 것은 필수 조건이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고속철도 및 도시철도 차량은 반드시 충돌 안전성(Crashworthiness)을 검증해야 한다. 이를 위해 수행되는 것이 바로 열차 충돌 시험(Train Crash Test)이다.충돌 시험의 목적은 단순히 차량이 얼마나 튼튼한지 확인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차체가 일정 부분 의도적으로 변형되며 에너지를 흡수하고, 승객 공간을 최대한 보존하는지를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는 자동차의 크럼플존(crumple zone) 개념과 .. 2025. 9. 1.
스마트 철도 기술 오늘은 스마트 철도 기술(자율주행, 디지털 트윈, 로봇)이 바꾸는 미래 교통의 패러다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자율주행 열차 – 자동 운행으로 완성되는 안전과 효율철도의 자율주행은 단순히 운전자가 없는 열차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는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자동 열차 운전),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 자동 열차 보호), ATS/ATC(자동 열차 정지/제어) 등 다층적인 제어 시스템이 결합된 복합 기술이다.현재 운용 사례파리, 두바이, 싱가포르 등 주요 도시의 지하철 노선에서는 이미 무인 운행이 보편화되어 있다.독일 함부르크에서는 2021년 세계 최초로 완전 자율주행 S-Bahn 열차가 상용화되었으며, 운행 효율성과 정시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2025. 8. 31.
세계의 독특한 열차들 오늘은 일본 신칸센, 프랑스 TGV, 독일 ICE, 한국 KTX를 기술 관점에서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일본 신칸센 – 고속철도의 원조, 안정성과 정시성일본 신칸센은 1964년 도쿄 올림픽을 계기로 개통된 세계 최초의 고속철도 체계다. "고속철도의 원조"라는 명칭에 걸맞게, 기술적 특징은 안전성, 정시성, 승차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차체와 공기역학신칸센은 일본 특유의 지형(터널과 곡선 구간이 많음)에 최적화되어, 긴 노즈(코 주둥이) 설계가 적용되었다.특히 "E5계 하야부사"는 15m 이상의 길쭉한 노즈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터널 통과 시 발생하는 압력파(소닉 붐)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대차와 진동 저감신칸센은 전용선 전용 열차로, 선로 불규칙성이 적어 진동 수준이 매우 낮다.공기 스프링, 능동.. 2025. 8. 31.
철도 기술자의 하루 오늘은 차량 설계자, 용접 엔지니어, 시험 엔지니어 등 다양한 직무의 하루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차량 설계자의 하루 – 구조와 안전을 도면에 담다철도차량 설계자는 말 그대로 열차의 ‘뼈대’를 만드는 사람이다. 이들의 하루는 CAD 화면 앞에서 시작되지만, 단순히 선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하중 조건과 규격을 고려한 공학적 의사 결정의 연속이다.아침 회의: 차량 설계자는 보통 부서 미팅에서 하루를 시작한다. 신규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 규격 변경, 고객 요구 사항(철도 운영사 요구) 등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차체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합금을 적용할지, 스테인리스강을 유지할지 논의할 수 있다.도면 작성과 해석: 오전에는 3D CAD 모델링과 구조 해석(ANSYS, Abaqus 등)을 병행한다. 예.. 2025. 8. 30.
철도와 IT의 융합 – TCMS(Train Control & Monitoring System) 오늘은 열차 두뇌 TCMS가 하는 일, 센서와 통신이 안전에 기여하는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TCMS의 개념과 역할 – 열차의 두뇌철도차량은 수십에서 수백 톤에 달하는 대형 기계 구조물이지만, 단순한 기계 장치로만 운행되지 않는다. 현대 철도차량은 수많은 전자 제어 장치와 IT 기술이 융합되어 운행되며, 그 중심에 있는 것이 TCMS(Train Control & Monitoring System, 열차제어감시장치)이다.TCMS는 말 그대로 열차의 두뇌 역할을 수행한다. 차량 내 각종 장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해석하여 제어 명령을 내리며, 운전실과 유지보수 시스템에 상태를 전달한다. 다시 말해, “센서 → TCMS → 제어/모니터링”이라는 정보 흐름이 열차 운영의 핵심이다. 주요.. 2025. 8. 30.